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샤스타사우루스(ARK: Survival Ascended)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장단점 === * '''장점''' * '''뛰어난 잠수함 안장의 유틸리티''' 기존 플랫폼 안장은 플랫폼이 그냥 수중에 노출되어 있는데다 밀폐된 공간을 만든다고 물이 빠지는 것도 아니고 진공관 설치도 안 돼서 구조물을 건설한다 쳐도 실질적인 거주가 수면 밖에서 이루어져야 했지만, 잠수함 안장이 이 점을 해결해준다. 안장 자체가 진공관처럼 안장 내부와 수중환경이 완벽하게 분리해주기 때문에 이론상 [[해저 2만리]]의 [[노틸러스호]]마냥 최소한의 자원수급을 제외한다면 얼마든지 수중에 거주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 플랫폼 안장도 유틸리티가 좋았던 점을 생각하면, 수중이라는 환경에 알맞게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플랫폼 안장이나 다름없는 잠수함 안장은 기존 수중 플랫폼 안장의 단점을 상쇄하고 장점만 남기는 것이다. 수중생물에 부착된 잠수함형태의 안장이라는 낭만을 실현시킨 건 덤. * '''수중환경에 적합한 특수능력들''' 아크의 바다는 하나같이 무지성으로 공격해오는 선공형 생물들 때문에 위험한 장소 중 하나로 꼽히는데, 샤스타사우루스의 특수능력들은 이러한 위협들에 방어가 될 수 있게끔 특수능력들이 디자인되어있다. Z축으로도 넓은데다 가시성도 나빠 언제 어디서 뭐가 튀어나올지를 경계해야 하는 수중에서 적대 생물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는 소나, 무식하게 달려들 줄만 아는 수중생물들에게 스턴을 걸 수 있는 섬광, 수중생물 중에서 유일하게 넉백을 가할 수 있어 도주나 반격의 여지를 마련할 수 있는 파동으로 무장했기 때문에 샤스타사우루스는 전투능력이 구린 것과는 별개로 방어 수단은 확실하고, 여기에 특수능력은 아니지만 꼬리로 후방 공방도 가능하기 때문에 액션이 단조로운 수중 생물들 사이에서 돋보인다. 특히 수중생물들은 투소테우티스와 조련불가지만 암모나이트 정도만이 공격 이외의 수단[* 투소테우티스는 그랩, 암모나이트는 페로몬 방출.]으로 자신을 보호할 수 있고 나머진 전부 달려들어서 물어뜯거나 빠르게 도망치는 것 말곤 할 줄 아는게 없기 때문에 더욱 부각되는 편이다. * '''단점''' * '''잠수함 안장의 위치''' 개발 도중 기술 상의 어려움으로 잠수함 안장의 위치가 샤스타의 등에서 아래로, 그것도 샤스타에게 대롱 매달린 듯한 동떨어진 모양으로 변경되었는데, 이 때문에 주정차나 탑승에 번거로움이 생겼다. 잠수함 안장이 샤스타의 아래에 위치하고 샤스타는 수면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잠수함 안장이 항상 물속에 잠겨있는 상태인데, 상하차의 경우 탑승은 샤스타 본체에게 다가가 E키를 누르기만 해도 자동으로 안장으로 이동하니 크게 상관 없지만 내리면 잠수함 안장의 바깥 옆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문제가 생기는데, 샤스타 본체와 달리 잠수함 안장은 충돌 판정이 존재하지 않아서 주변 지형을 통과하는데 잠수함 안장이 지형에 파묻힌 상태에서 내릴 경우 플레이어가 샤스타 몸 내부로 이동되어서 다시 탑승하는 것 외엔 이동할 방법이 없어지므로 플레이어가 원활하게 탑승하고 내리려면 항상 주변이 샤스타 + 잠수함 안장 높이 이상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이동 자체는 문제가 없지만 잠수함 안장에 있는 플레이어의 1인칭 시점이나 샤스타의 주정차할 때의 불편함이 있다. 외적으로도 이러한 위치 선정 때문에 탄생한 어정쩡한 디자인도 공모전때의 기대와 낭만를 무너뜨리는 요소로 여겨진다. 공모전이나 초기 도감 이미지에서 공개된 생물의 몸 형태에 맞춘 유선형 잠수함 안장이 아닌, 좀 커다란 진공관을 혹마냥 달고 있는 듯한 형태 때문에 성능과는 별개로 디자인에 불호를 가진 유저들 또한 다수 존재한다. * '''샤스타 본체의 부족한 전투력''' 잠수함 안장의 유틸리티는 매우 좋지만, 밸런스 상 그 안장을 운영하는 샤스타 본인의 전투력이 좋지 못한 편이다. '''무려 기본적인 공격 속도가 그 둔클레오스테우스보다도 조금 느린 정도.''' 그나마 다른 수중 생물들처럼 무식하게 물기밖에 못하는 건 아니고 꼬리를 활용할 수 있어 후방 방어가 가능하지만 어쨌든 이것도 시점이 다를 때 발동되는 물기 공격과 다름없기 때문에 전투를 기대할 게 못된다. 거기다 특수능력들도 어뢰를 제외하면 하나같이 쿨타임이 존재하는 데다가 부족한 기본 공격을 메꿀만한 공격적인 기능도 없다. 어뢰 공격이 수중의 몇 안되는 원거리 공격이고 폭발물이라 파괴력도 있지만 로켓이라는 자원을 소모하고 투사체이기 때문에 막 쓰기는 조금 어렵다. 이 외의 샤스타 본인의 특수 능력들은 전부 적을 탐지하거나 따돌리는데 특화되어있기 때문에 샤스타를 운용할 땐 모사나 플레시오보다는 다소 소극적으로 운용하게 만든다. 어찌보면 케찰이나 아스트로시터스와도 비슷한 점. 워낙 전투력이 빈약해서인지 아예 비슷한 대형 수중생물 포지션의 생물도 아닌 [[크시팍티누스(ARK: Survival Ascended)|크시팍티누스]] 몇마리에 찢겨졌다는 경험담도 존재한다. * '''높은 안장 해금 레벨과 한정적인 제작 가능 장소''' ASA를 시작한지 얼마 안된 사람 한정으로 단점. 잠수함 안장의 해금 레벨이 티타노 안장과 동일한 100인데, 안장 해금 레벨만 놓고 보면 잠수함 안장의 성능을 생각했을 때 마냥 단점이랄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대장간에서 제작할 수 있는 티타노 안장과 달리 잠수함 안장은 테크 제작대에서만 제작이 가능하다는 조건까지 더해지는 것이 문제다. 레벨 100 돌파와 보스 레이드를 최소 1회 이상 클리어가 모두 충족되어야 안장을 제작해 쓸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론 샤스타를 써먹을 수 있는 시기가 뒤로 많이 밀린다. 다만 선술했다시피 더 센터가 출시된 시점 기준으로 ASA가 출시된지 반년 이상이 지났기 때문에 ASA 출시 때부터 해오던 사람이라면 어지간해선 두 조건을 이미 충족했을 것이기 때문에 딱히 문제되지 않는 점이기도 하다. 배율을 크게 높여 플레이하는 경우라면 더더욱 쉬운 것이, 고레벨의 생물과 고성능의 안장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쉬운 탓에 보스 레이드가 굉장히 쉽다. --이볼브드 기준으로 렉스 공격력이 갓 길들인 기가노토보다 서너 배는 더 강한 경우도 심심찮게 나오니 뭐...--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